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Tags
more
Archives
관리 메뉴

사랑한다는 말

퇴사후 실업급여 신청기간 과연 얼마나 될까요? 본문

카테고리 없음

퇴사후 실업급여 신청기간 과연 얼마나 될까요?

진전정 2018. 3. 12. 19:44
반응형

직장생활을 하다보면 본인의 의사에 의해 회사를 그만 두는 경우가 있지만 불가피한 사정으로 그만 두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 실직자의 막막한 생활을 도와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이러한 제도의 근간은 바로 고용보험입니다. 정부에서는 고용보험 홈페이지를 운영해 근로자들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황색 고용보험제도 안내에 자세한 설명이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가장 궁금한 실업급여 안내를 클릭합니다. 고용보험과 실업급여에 대한 정보는 로그인이나 공인인증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실업급여란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가 실직하여 재취업 활동을 하는 기간에 소정의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실업으로 인한 생계불안을 극복하고 재취업의 기회를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이러한 실업급여는 구직급여, 취업촉진수당, 연장급여, 상병급여로 나뉩니다. 가장 중요한 제도는 역시 구직급여겠죠. 구직급여의 경우 실업급여의 정의가 매우 중요한 조건이 됩니다.




구직급여 지급대받기 위해서는 이직일 이전 180일이상 근무를 해야하고, 이직사유가 비자발적인 것이 키포인트입니다. 근로의 의사와 능력이 있어야 하고 재취업을 위해 노력해야죠.



본인이 구직급여에 해당하는지에 대해 많이 묻는 질문을 참고하면 구직급여 대상자에 대한 물음에 해답이 될 것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자의나? 타의냐?인 것 같습니다.



뭐니 해도 가장 중요한 것도 money로 구직급여 지급액 계산은 연령과 가입기간에 따라 다릅니다. 최저 90일부터 6달까지 받을 수 잇으니 얼마나 든든한 제도입니까?



실업급여 지급절차도 한번 살펴볼만 합니다. 워크넷으로 구직등록 후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방문하여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을 이수해야 합니다.


수급 자격이 인정되는 경우 매 1~4주마다 고용센터를 방문하여 실업인정을 신청해야 실업급여가 지급됩니다.  방문시마다 스스로의 구직활동을 증명해야죠.



싱럽급여 모의계산 해보기가 고용보험 홈페이지에 제공됩니다. 고용보험 메인 홈페이지에서 바로 볼 수 있고 백마디 설명마다 한번의 테스트가 더 이해가 빠를 것이라 생각합니다.


제가 가상으로 실직 이전 1년 8개월 넘게 근무한 만 33세의 실직자의 실업급여를 모의로 계산해 보았습니다. 4달 동안 총 650만원의 실업급여를 수급할 수 있습니다. 적지 않은 금액이죠!


그렇다면 과연 실업급여 신청기간은 얼마나 될까요? 퇴사후 실업급여 신청기간은 어느 정도가 될까? 대부분들 실업전에 이런 부분을 준비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실업급여 신청기간은 퇴직 다음날부터 12개월이 경과하면 소정급여일수가 남아있다고 하더라도 더 이상 지급받을 수 없다고 합니다. 실업급여 없이 재취업하면 지급받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실업급여는 퇴직 즉시 신청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합니다. 내가 낸 고용보험료에서 지원되는 실업급여인 만큼 이 돈은 당당히 누려야 할 나의 권리입니다. 


실업급여 신청기간을 지키지 못할 경우 수급 자체가 불가능한만큼 실업급여를 못받는 일이 없도록 모두 주의합시다.퇴사후 실업급여 신청기간은 12개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