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한다는 말
회계사 연봉, 전망 되는 방법 종합적으로 알아보자! 본문
돈을 운용하는 기관 모두 의무적으로 1년 동안 기관의 지출 수입과 관련된 보고서인 재무제표를 작성해 사회에 보고해야 합니다. 이때 필요한 직업이 회계사인데요.
회계사는 공공시설, 정부기관, 개인 또는 회사의 경영이나 재무 상태 등에 대해 상담해주고 관련된 서류 작성해줍니다.
사업을 하는 기업, 개인들에게는 무조건적으로 필요한 직종이기 때문에 회계사 연봉은 보통 굉장히 높다고들 하죠.
본인의 경력, 회사의 규모 등에 따라 회계사 연봉은 다르지만 어느정도 연차가 쌓이면 대부분 억대 연봉을 받는다고 합니다. 초임이지만 본인의 역량이 뛰어나다면 바로 억대 회계사 연봉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높은 회계사 연봉으로 많은 분들이 회계사 준비를 다짐하곤 하지만 한편으로는 일각에서 들리는 좋지만은 않은 회계사 전망으로 주저하실 것 같습니다.
기술 발달과 함께 등장한 인공지능 AI이 많은 직업을 대체할 것이고 그 중 하나가 회계사도 있다고들 합니다. 하지만 인공지능이 회계사의 업무 간소화는 용이하게 해도 아예 업무 자체를 대체하기는 무리가 아닐까 싶습니다.
좋지 않은 회계사 전망으로 요새 회계사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이 줄었다고 합니다. 기업입장에서는 필수 업무 중 하나인 회계 업무를 맡을 인력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이라 개인적으로 지금 회계사 전망은 나쁘지 않는 것 같습니다.
회계사가 되기 위해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실시하는 공인회계사 시험을 치러야합니다. 합격하면 2년 동안의 수습기간을 걸치며 이후 재정경제부에 등록하면 회계사로 일할 수 있습니다.
공인회계사 시험은 1차, 2차로 나뉘어지며 응시자격은 학교 등에서 학점이수 해당과목별로 회계학, 세무학 과목 12학점 이상, 경영학과목 9학점 이상, 경제학 과목 3학점 이상 이수한 자 또는 이수한 것으로 학점인정 받은자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공인회계사 시험 응시에는 국적, 학력, 연령 제한이 없으며 미성년자, 전과자라는 이유로 응시가 불가능하지는 않습니다. 학점 이수를 받을 수 없는 고등학생의 경우엔 학점은행제를 통해 학점 취득을 할 수 있씁니다.